공항의 착륙 유도시설,로컬라이저현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공항의 착륙 유도시설,로컬라이저현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작성일25-01-15 06:57 조회5회 댓글0건

본문

[앵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정부가 전국 공항의 착륙 유도시설,로컬라이저현황을 조사해 발표했습니다.


무안공항 외에도 김해와 제주 등 전국 6개 공항에 있는 8개로컬라이저시설이 피해를 키운 걸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 형태와 유사한 걸로.


'맞지만 틀렸다' 국토교통부가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의 화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 적법성과 관련해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며 근거를 요목조목 밝혔다.


다만 안전성이 미흡했던 부분은 인정했다.


주변으로는 조문객들이 두고 간 국화가 놓여 서리를 맞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8일 인천·김포국제.


지난 5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을 살피고 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 참사 현장에서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둔덕에 파묻힌 제주항공 7C2216편의 엔진이 크레인으로 인양되고 있다.


로컬라이저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요인 중 하나다.


마석역 극동스타클래스


국토교통부는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전국 13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국토부장관은 이 자리에서 참사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무안공항의로컬라이저시설을 즉시 개선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관련 안전 규정과 조류 퇴치 방식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여객기가로컬라이저와 충돌한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2015년에도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가 히로시마 공항에 착륙하다 부딪힌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엔 이번 참사와 달리 단 한 명의 사망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 앵커멘트 】제주항공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로컬라이저의 위치와 형상이 규정에 부합한다고 정부가 해명했습니다.


법령 위반에는 문제가 없다고 일단 선을 그은 건데요.


하지만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졌던 만큼 향후 수사 과정에서.


국토부가 이달 개선 방안을 마련해 연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가입사실확인

회사명 신시로드 주소 서울 서초구 효령로 304 국제전자센터 9층 56호 신시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756-74-00026 대표 서상준 전화 070-8880-7423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9-서울서초-2049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서상준
Copyright © 2019 신시로드. All Rights Reserved.